ABO Blood type 결정하는걸 공부하면서, 공부한 내용을 표로 요약했다
그림작업도 그렇고 표로 만드는게 너무 오래 걸렸다 😌
그림작업도 그렇고 표로 만드는게 너무 오래 걸렸다 😌
복대립 유전
염색체의 하나의 좌위에 대립유전자가 3개 이상인 것 : ABO식 혈액형
적혈구 세포막의 당이 차이로 인해 ABO식 혈액형이 된다.
이러한 차이는 대립유전자가 다르기 때문이다.
i 대립유전자 : 효소활성이 없어서 4개의 당에 곁가지에 당을 붙이지 못해서, ‘O형 표현형’을 나타낸다.
IA 대립유전자 : 갈락토오스 전달효소 타입A를 만들어서, A형 표현형을 나타낸다.
IB 대립유전자: 갈락토오스 전달효소 타입B를 만들어서, B형 표현형을 나타낸다.
AB형은 IA 대립유전자와 IB 대립유전자 두 유전자를 둘 다 갖고, 두 가지 효소가 다 있다. 두 가지의 당이 섞여 붙어있다.
항체와의 응집반응
말단구조를 항체로 구분한다.
항-A 혈청(α 항체): A형의 당 구조를 인식
항-B 혈청(β 항체): B형의 당 구조를 인식.
표현형
|
유전형
|
형태
|
응집여부
| |
항-A 혈청
(B형 표준혈청)
|
항-B 혈청
(A형 표준혈청)
| |||
A형
|
IAIA IAi
|
GalNAc
|
+
|
-
|
B형
|
IBIB IBi
|
Gal
|
-
|
+
|
AB형
|
IAIB
|
GalNAc, Gal
|
+
|
+
|
O형
|
ii
|
-
|
-
|
A와 B는 공동우성이고, O형은 열성이다.
- A형의 적혈구 세포막에는 ‘A형 당 구조’가 있고, β-항체가 들어있다.
- B형의 적혈구 세포막에는 ‘B형 당 구조’가 있고, α-항체가 들어있다.
- AB형의 적혈구 세포막에는 ‘A형 당 구조’와 ‘B형 당 구조’가 있고, 항체는 없다.
- O형의 적혈구 세포막에는 당 구조가 없고, β-항체와 α-항체가 있다
Comments